본문 바로가기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3)
UAV기반의 무인항공사진측량 수치지도의 수시 수정이나 재난, 재해의 피해조사 및 복구를 위한 지형도 제작 등 신속이 요구되는 지형측량에는 기존의 항공사진측량에 비해 이동성, 사용성, 접근성이 뛰어나고 기상조건에 영향을 덜 받는 UAV(Unmanned Aircraft Vehicle) 기반의 무인항공사진측량이 적합하다. UAV에 GPS 및 INS가 결합된 자동비행장치(Auto pilot)와 카메라를 탑재하여 취득한 영상은 수치사진측량 소프트웨어에 의한 정사영상, *DEM 및 도화작업이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즉시 수행되므로 최단시간 내의 지형도 제작이 가능하다. 무인항공사진측량에서는 렌즈 왜곡이 큰 일반 카메라와 정밀도가 낮은 IMU센서를 사용하므로 기존의 항공사진측량 방법으로는 영상을 처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컴퓨터 비전 분야의 SfM..
지구좌표계를 배워보자 공간상 1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원점의 위치, 좌표축의 방향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요소들을 설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좌표계로는 천문좌표계, 지구좌표계 및 궤도좌표계가 있다. 지구좌표계는 지표면상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좌표계로서 대규모 지역에 이용되는 경위도 좌표계와 UTM 좌표계, 소규모 지역에 이용되는 평면직각좌표계와 극좌표계등이 있으며 최근 위성측량에 3차원 직교좌표계가 이용되고 있다. 처음에 공부를 시작하면서 드는 생각은 좌표계 하나만 쓰면 되지 뭘 이렇게 많이 써서 외우기 어렵게 만들어놨을까 였는데 읽다 보니 지구가 둥글어 하나의 좌표계만 쓰면 오차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 옛날에 사람들은 지구가 둥근 건 어떻게 알고 좌표계를 맞춤으로 썼을까 매번 느끼지만 참 대단하다...
천문측량이라고 들어봤니? 천문측량(Astronomy Surveying)이란? 천문 측량은 태양이나 별을 이용하여 경도, 위도 및 방위각을 모르는 지점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하기 위한 측량으로 관측대상은 주간에는 태양을 야간에는 별을 관측하지만 태양관측은 별 관측에 의한 것보다 정확도가 떨어진다. 천문 측량을 하기 위해서는 천체 및 시간에 관한 기본지식과 *구면 삼각법을 포함한 제반 수학적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하며, 최종 관측자의 경험과 숙련도가 요구된다. *구면 삼각법 : 구면 삼각형에 관한 삼각법. 구면삼각법에서는 변도 일종의 각으로 생각하여 일반각과 같이 도, 분, 초를 사용한다. 구면상의 위치 관계를 얻기 위해서는 구면삼각법공식을 이용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세 공식은 sin법칙, cos법칙, sincos법칙이다. *구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