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 썸네일형 리스트형 항공레이저(LiDAR)측량 전 국토의 토지 이용 극대화 및 도시화에 따른 복잡한 시설물 관리의 필요성과 각종 개발 시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항공레이저 측량과 같은 높은 정확도의 최신 측량 장비가 요구된다. 항공레이저측량은 항공레이저측량시스템(GPS안테나 및 수신기, 레이저거리측정기, INS 등)을 항공기에 탑재하여 레이저를 주사하고 그 지점에 대한 3차원 위치 좌표를 취득하는 측량방법이다. 현재는 국가기본도 수정 및 갱신 사업에 대한 성과품질과 경제성 향상 및 다목적, 다용도 개념의 지리정보 구축 등을 위하여 산악지가 많은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항공 LiDAR에 의한 국가기본도를 제작하는 등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측량에 이용되고 있다. 항공레이저측량 시스템은 지표에 있는 산이나 골짜기, 산림 등의 자연지형과 택지 및.. GPS의 민간분야 확대 오늘날 우리는 스마트폰 없이는 아무것도 못하는 시대로 가고 있다.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부터 쇼핑, 검색 기능 등 휴대폰 하나로 무엇이든 가능한 그런 시대 말이다. 그 많은 기능들 중에서도 나는 위치정보시스템이 지금의 스마트폰 시장을 여기까지 끌고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본다. 처음에는 버스정류장에서 버스가 몇 분 있다가 도착할지를 알게 되다가 내가 사는 곳의 날씨를 알아서 조회해주고 이제는 내비게이션만 켜면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어디서도 운전해서 찾아갈 수가 있게 되었다. 이렇게 편리한 생활이 가능하게 된 것은 복합적인 요인이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로 GPS의 민간분야 확대 이용이 아니었을까 싶다. 초기 GPS는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미국에서는 GPS의 민간분야에서의 활용을 허가하였으.. 측량의 기준에 관한 이야기 측량의 기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구의 표면, 기준타원체, 지오이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지구는 반경이 약 6,300km이며, 표면이 약 72%의 바다와 28%의 육지로 구성된 타원체 모양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실제적인 지구의 표면(지형)은 매우 울퉁불퉁하고 불연속이어서 우리가 알고자 하는 곳의 위치 결정을 위한 기준면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렵고 부적절하다. 따라서 대상물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기준면을 수학적 그리고 물리학적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수학적인 기준면은 기준타원체를 의미하며 이는 수평 위치의 기준이다. 그리고 물리적인 기준은 지오이드를 의미하며 수준 위치의 기준이다. 모든 국가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정의된 두 개의 기준면을 찾는다. 수평면(기준타원체)과 수직면(지오이.. 조석관측(Tide Observation) 요즘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낚시하러 간다는 사람이 많아졌다. 어렸을 때는 낚시가 그렇게 싫었었는데 나이가 드는 건지 한 번씩 머리 비우고 싶을 때면 바다를 찾게 되는 것 같다. 멍하니 앉아 있다 보면 시간 보내는 데는 그만한 게 없으니까. 아무튼 해안에서 바다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해수면이 끊임없이 꿀렁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계속해서 해안 부근을 유심히 보고 있으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바닷물이 밀려와 차오르기도 하고(밀물), 서서히 빠져 내려가는 모습(썰물)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해수면 변동은 특히 조차가 큰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더욱 잘 볼 수 있다. 해수면의 변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천체의 움직임에 의한 해수면의 주기적인 승강 운동에 의해 일어나며, 이를 조석이라 한다. 한마디로 .. UAV기반의 무인항공사진측량 수치지도의 수시 수정이나 재난, 재해의 피해조사 및 복구를 위한 지형도 제작 등 신속이 요구되는 지형측량에는 기존의 항공사진측량에 비해 이동성, 사용성, 접근성이 뛰어나고 기상조건에 영향을 덜 받는 UAV(Unmanned Aircraft Vehicle) 기반의 무인항공사진측량이 적합하다. UAV에 GPS 및 INS가 결합된 자동비행장치(Auto pilot)와 카메라를 탑재하여 취득한 영상은 수치사진측량 소프트웨어에 의한 정사영상, *DEM 및 도화작업이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즉시 수행되므로 최단시간 내의 지형도 제작이 가능하다. 무인항공사진측량에서는 렌즈 왜곡이 큰 일반 카메라와 정밀도가 낮은 IMU센서를 사용하므로 기존의 항공사진측량 방법으로는 영상을 처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컴퓨터 비전 분야의 SfM.. 지구좌표계를 배워보자 공간상 1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원점의 위치, 좌표축의 방향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요소들을 설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좌표계로는 천문좌표계, 지구좌표계 및 궤도좌표계가 있다. 지구좌표계는 지표면상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좌표계로서 대규모 지역에 이용되는 경위도 좌표계와 UTM 좌표계, 소규모 지역에 이용되는 평면직각좌표계와 극좌표계등이 있으며 최근 위성측량에 3차원 직교좌표계가 이용되고 있다. 처음에 공부를 시작하면서 드는 생각은 좌표계 하나만 쓰면 되지 뭘 이렇게 많이 써서 외우기 어렵게 만들어놨을까 였는데 읽다 보니 지구가 둥글어 하나의 좌표계만 쓰면 오차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 옛날에 사람들은 지구가 둥근 건 어떻게 알고 좌표계를 맞춤으로 썼을까 매번 느끼지만 참 대단하다... 천문측량이라고 들어봤니? 천문측량(Astronomy Surveying)이란? 천문 측량은 태양이나 별을 이용하여 경도, 위도 및 방위각을 모르는 지점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하기 위한 측량으로 관측대상은 주간에는 태양을 야간에는 별을 관측하지만 태양관측은 별 관측에 의한 것보다 정확도가 떨어진다. 천문 측량을 하기 위해서는 천체 및 시간에 관한 기본지식과 *구면 삼각법을 포함한 제반 수학적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하며, 최종 관측자의 경험과 숙련도가 요구된다. *구면 삼각법 : 구면 삼각형에 관한 삼각법. 구면삼각법에서는 변도 일종의 각으로 생각하여 일반각과 같이 도, 분, 초를 사용한다. 구면상의 위치 관계를 얻기 위해서는 구면삼각법공식을 이용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세 공식은 sin법칙, cos법칙, sincos법칙이다. *구면 .. 이전 1 다음